Current Teachers
  • Administrative Tasks
  • Co-Teaching Videos
  • EPIK Life Videos
  • School Culture Episodes
  • Volunteer Stories
  • Teachers' Resources
    • General~High School
    • EPIK Teachers’ Essays
    • Korean Teachers’ Essays
    • EPIK Manual for Korean Teachers
    • Counseling Booklet
  • Contest Submission
2008 원어민교사 활용 우수사례(장려상)
2008 원어민교사 활용 우수사례(장려상)
  Date: 2009-07-20 00:36     View: 3149  


원어민과 함께하는 영어 교사 공동체



                  외동초등학교 교사 오 영 범



 



 



 



1. 효과적인 원어민 협력 방법을 생각하며



 



  대부분의 초등학교에서 영어 전담 교사가 배치되어 있는 상황과는 달리 창원시 소재 외동초등학교는 영어 전담 교사가 없어 담임교사가 영어를 지도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원어민 교사가 일주일 내내 학교에 상주하지 않고 주2회(목, 금요일) 본교를 방문하여 담임교사와 협력 수업(Co-Teaching)을 진행한다. 이러한 상황과 학교 교육과정의 여건을 반영하여 3, 4학년은 담임 주도의 영어수업을 진행하며 5, 6학년은 주 1시간씩 원어민 협력 수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 여건아래 영어과 교수ㆍ학습 방법의 필요성을 공감한 9명의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원어민과 함께하는 초등영어교과연구회」라는 영어 교사 공동체(community)를 구성하였다. <표 1>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학년별 주당 수업 시수와 본교 영어 교사 공동체의 현황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본교의 영어 교육 상황




















































 


학년




학급 수




주당 수업 시수




공동체 교사 수




원어민 협력 수업




2학년




4




0시간




1




없음




3학년




3




1시간




1




없음




4학년




4




1시간




3




없음




5학년




4




2시간




4




1시간(매주 목요일)




6학년




4




2시간




0




1시간(매주 금요일)




 ※ 2학년 교사 1명은 영어 수업은 없지만 영어에 대한 개인적 관심과 원어민 보조 교사와의 교류를 통해 의사소통을 신장할 목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원어민 보조 교사와의 원활한 상호 협력 속에서 공동체 활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3S Community System’이라는 활동 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였다. 여기서 ‘3S’는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주요 3대 요소인 장학(Supervision), 연구(Study), 연수(Seminar)의 각 이니셜을 따서 표기한 것이고, ‘Community’는 영어 수업에 관해 공동의 관심을 공유하면서 영어과 교수ㆍ학습 방법을 개선하려는 교사들의 모임을 의미한다. 또한, ‘System’은 장학, 연구, 그리고 연수 활동이 각각 독립되어 있지 않고 상호 연관을 맺으면서 영향을 미치는 ‘유기적인 하나의 통합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3S Community System’이란,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핵심 활동인 장학ㆍ연구ㆍ연수 활동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영어 교사 공동체”를 의미한다. 이 전 활동 과정에서 원어민 보조 교사는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영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에 이바지하는 유용한 인적 자원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2. 원어민 보조 교사와 함께한 3S Community System 활동



  



  공동체의 핵심 요소인 장학ㆍ연구ㆍ연수 활동을 좀 더 세분화하여 [그림 1]과 같이 기초활동, 연구활동, 수업활동(임상장학), 연수활동, 정리활동의 5단계로 나누었다. 이런 활동들 속에서 원어민 보조 교사는 공동체 활동에 직접 관여하면서 작게는 문법적 오류 및 어색한 표현을 교정하고, 크게는 수업 전략 및 기법에 대해 조언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1) 원어민과 함께한 연구(study) 활동



  (1) 영어과 수업 설계하기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작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효과적인 수업 설계를 위해서는 다양한 영어과 교수법, 교수ㆍ학습 전략 및 자료의 사용 방법 등에 관한 포괄적인 연구 활동이 병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를 위해 공동체 모임을 월 2회씩 정기적으로 가지면서 영어과 교수ㆍ학습 효과를 부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공동의 사고를 통해 모색해보고 상황별 교실 영어(classroom english)에 대한 자체 연수 활동도 이루어졌다.



  다각도의 연구 활동을 통해 습득한 총체적 지식을 토대로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구안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법적인 오류 및 어색한 문장 표현 등은 원어민 보조 교사를 통해 검토를 받도록 하였다. 피드백을 통해 교수ㆍ학습 과정안이 확정되면 이를 토대로 교실 영어를 작성하였다. 교실 영어는 지도안의 각 단계에 따라 작성되는데, 실제로 수업이 이루어진다는 가정아래 교사의 입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 표현들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영어 교사 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지는 본교의 실정을 서두에서 밝힌 것처럼 3ㆍ4학년은 담임 주도의 영어 수업이 진행이 되고, 5ㆍ6학년은 주당 2시간의 수업 중에서 1시간은 담임 주도, 나머지 1시간은 원어민 협력 수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5학년 담당 교사는 <표 3>과 같이 두 가지 형태의 교수ㆍ학습 과정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2)다양한 공동체 활동 전개



  공동체의 정기 모임은 원어민 보조 교사가 본교에 방문하는 목요일과 금요일을 고려하여 매월 둘째ㆍ넷째주 목요일 오후 시간으로 정하여 운영하였다. 교사들은 수업 설계서 초안을 미리 작성하여 원어민 보조 교사의 검토를 받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수업 설계서에 반영된 교수ㆍ학습 전략 및 기법, 자료 등을 전 구성원들과 함께 공동 논의해 봄으로써 수업 적용의 실용성과 결과의 효과성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에서 개최된 영어 교육관련 박람회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영어교육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교실 수업 상황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2) 원어민과 함께한 연수 활동



  원어민 보조 교사와 한국 교사는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최적의 관계임을 인식하였다.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한국 교사에게는 말하기ㆍ듣기 중심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켜갈 수 있는 좋은 기회이며 원어민 보조 교사는 한국 교사들에게 국어를 배우고 공동체 활동 속에서 한국의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어민 보조 교사만이 가진 교육적 지식, 교수법 등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나누기 위한 의도로 연수 활동을 계획하였다. 영어 교사 공동체 활동의 정기 모임을 통해서는 다양한 자율 연수 활동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 소속 교사들의 집약된 다양한 노하우를 전 교사들과 공유하고자 하는 의도로 전체 연수 활동을 계획하였다. 익숙하지 않은 원어민 보조 교사의 연수 주도로 많은 교사들이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연수 활동에 참여하였고 영어 교육에 관심이 많은 젊은 교사들은 원어민 보조 교사와 적극적인 상호 작용을 하면서 연수 활동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영어 의사소통 능력이 부족하여 연수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교사들에게는 다소 지루한 감이 있다는 반응이었다. 이 반응을 통해서 영어 교사 공동체의 조직과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절실함을 느꼈다.



 



 



 3) 원어민과 함께한 장학 활동(동료 장학)



  교사들이 수행하는 핵심 활동은 수업이다. 교사의 수업이 효과적일 때 학생들의 만족도와 성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런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영어 수업의 경우에는 학생들이 영어 의사소통 상황에 많은 시간을 노출할 수 있도록 구조화해야 한다. 이것은 영어를 진행하는 교사의 영어 구사 능력과 상당한 연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교사의 능숙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효과적인 교수법과 전략과 결합될 때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이런 점에 착안하여 영어 공동체 소속 교사들간에 수업 개선을 위한 멘토링 교사제를 운영하였다. 즉, 2인 1조로 구성된 동료 교사들과 상호 수업을 공개하고 관찰하는 동료 장학을 통해 영어 수업에 대한 자신감과 전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3. 공동체 활동의 의미를 살펴보며



 



  원어민과 함께한 3S Community System 활동을 통해서 찾을 수 있는 의미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는 3가지 주요 활동 영역인 장학(Supervision), 연구(Study), 연수(Seminar) 활동을 유기적으로 통합한 3S Community System의 일반화 가능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과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적(common goal)을 공유하기 위해 영어과 교과연구회를 조직하여 운영하였는데, 이 시스템을 각 학교, 지역사회, 그리고 교과연구회의 실정, 환경에 적합하게 재조직하여 운영한다면 각 교과 영역의 전문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원어민 교사와의 효과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제시한 것은 원어민 협력 수업을 위한 모형(model)을 형성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다. 본 연구회에서의 원어민 활동 영역은 수업설계(Instructional design) 부분에서 평가(evaluation)에 걸친 한 과정 전체에 관여하게 된다. 즉,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을 위해 영어로 교수ㆍ학습 지도안을 작성하게 되면 문법적인 오류나 표현상 어색한 부분을 원어민 교사가 검토한다. 구체적인 수업설계가 완성되면 담임 주도 수업 및 원어민 협력 수업의 2가지 형태로 수행하게 되는데, 원어민 협력 수업의 경우에는 효과적인 상호 작용 전략을 동원하여 학생들의 언어 자극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 수업 실행 과정에서 관찰된 수업 분석 내용과 동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전 회원들이 참석하게 되는 정기 협의회 시간을 활용하여 수업 내용을 다시 피드백(feedback)하는 과정을 갖는다. 이 과정에서 수행하게 되는 원어민의 역할과 영어 담당 교사와의 협력 체제는 차후에 수행되는 원어민 협력 수업 모형 같은 이론 형성 연구에 큰 시사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3S Community System 적용한 후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관심도, 만족감 및 자신감 등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생겨 3S Community System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이는 모국어가 아닌 영어라는 외국어를 습득할 때에는 접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와 상황에의 노출, 이 노출 시간의 증가가 바로 영어 학습 능력 향상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어 교사 공동체인 「원어민과 함께하는 초등영어교과연구회」를 조직하여 원어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어 말하기ㆍ듣기 능력의 향상, 영어로 진행하는 교수ㆍ학습 지도안 작성을 통해 읽기ㆍ쓰기 능력의 향상의 총체적 언어 습득(Whole Language Approach)을 위해 노력하였다. 교사들의 이러한 노력과 관심은 그대로 학생들에게 반영되어 긍정적인 효과로 드러난 결과이다.



  넷째, 3S Community System의 적용 결과 교사들에게도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에 대한 자신감 및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상호 공개 수업을 통해 교수 전략 및 다양한 수업 기법을 공유하는 목적을 가진 멘토링 수업 공개를 통해 많은 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었고, 영어를 사용하는 시간과 원어민 교사와의 접촉 시간의 증가로 인해 의사소통 능력도 많이 향상되어 교사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3S Community System의 적용 결과 원어민 교사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서로 각기 다른 사회ㆍ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서로를 이해하면서 국제 공용어인 영어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친숙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소속감을 느끼고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어 좋은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원어민 교사와 학교의 영어 담당 교사간의 상호 긍정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할 수 있는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 특히, 먼 타국 생활하는 가운데 자신이 유용한 인적자원이라는 존재감과 유용성은 고독보다는 언제든지 함께 할 수 있는 한국적 공동체 의식은 ‘국가 이미지 메이킹’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print email Twitter icon Facebook icon

  • List